본문 바로가기
메뉴

김재정 (Jay J. KIM)외국변호사

김재정 (Jay J. KIM) 외국변호사
김재정 (Jay J. KIM) 외국변호사

김재정 (Jay J. KIM)외국변호사

T.02-3703-1069F.02-2122-3800E.jjkim@kimchang.com

관련 분야

소개

김·장 법률사무소의 김재정 외국변호사는 지식재산권, 제조물책임 및 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소송과 위기 관리 분야 변호사입니다. 김 변호사는 화학, 제약 및 의료장비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규제 관련 사안에 대해 폭넓은 경험을 갖고 있으며,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및 라이선싱 업무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김·장 법률사무소에서 제약, 화학, 생명공학 및 소비재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산업에서 특허 및 제조물 책임 사건을 담당하였습니다. 블록버스터 의약품, 폴리머, 석유화학제품, 소비재, 자동차, 백신 및 영·유아 조제 분유용 첨가제 등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제기 된 주요 특허 및 제조물 책임 사건 등 또한 담당해 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Soft IP 소송 및 집행 관련 사건에서 유명 명품 브랜드와 스포츠 리그 등에 자문을 제공하여 위조, 온라인 상 침해 및 소유권 분쟁을 처리한 바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지식 재산권 분야에서 출원등록, 분쟁, 거래 및 형사 사건 관련 업무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 관련 소송, 제약 및 화학 규제 관련 사안, 대정부 관계 및 라이선싱 협상에 대한 경험도 풍부합니다. 

김 변호사는 AIPLA, INTA, IBA, DRI, ChemCon, LES, ICPHSO 및 PLAC와 같은 조직에서 개최하는 여러 국제 회의에 연사 또는 패널로서 정기적으로 참석하고 있으며, 다양한 법률 출판물에 투고하고 있습니다. 

김·장 법률사무소에 합류하기 전, 김 변호사는 한국 국방부조달본부 법무실에서 외자계약담당변호사로 근무했습니다. 또한 Pennie & Edmonds 뉴욕 사무소에서 특허 출원등록 및 집행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였으며, 그 전에는 Foster Wheeler에서 화학처리 최적화 담당 엔지니어로 근무하였습니다. 

김 변호사는 화학공학을 전공하여 1989년 The Cooper Union에서 학사학위를, 1991년 Columbia University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또한 1994년 New York University Law School에서 법학석사학위(J.D.)를 취득하였습니다. 김재정 변호사는 뉴욕주 변호사 및 미국 변리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문 화학공학 엔지니어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습니다.

프로필

경력

김·장 법률사무소 (1995, 1997-현재)

한국 국방부조달본부 법무실 외자계약담당변호사 (1996-1997) 

뉴욕 Pennie & Edmonds 법률사무소 (1993-1995) 

뉴욕 Foster Wheeler 컨설팅 (1989-1991)

주요 실적펼치기

  • 미국 소비재 제조회사 관련 사건에 참여, 국내 특허소송 사상 최대 액수의 손해배상 지급 판정 
  • 다양한 미국, 독일 및 스웨덴 자동차 제조회사 관련 급발진 및 안전벨트 결함을 주장하는 소송 참여 및 자문
  • 조기 제네릭 진입에 의한 가격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미국 제약회사 관련 특허소송에 참여 및 자문
  • 제약회사들의 국내 특허 연계 제도에 의거한 특허권 등록 자문 
  • 미국국제무역위원회(ITC)의 처분과 관련된 현지 발견, 증언 및 증인 준비 작업 총괄을 위하여 미국 기기 제조 회사에 자문 제공 및 미국 법률회사와 공동 자문 
  • 미국 주요 스포츠 리그에 전문적인 조언을 제공하여 경기의 무단 온라인 스트리밍에 대한 금지 명령 결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냄 
  • 영국 명품 브랜드 관련 사건에 참여하여 회색시장 상품에 대한 허용 가능한 소매 행위의 범위를 규정하는 중요한 결정을 이끌어 냄 
  • 미국과 유럽의 각종 제약 및 화학 회사에 자문을 제공하며 지식재산권 관련 공정거래 기관 부문의 조사 및 조회에 대응 
  • 신규 K-REACH 시스템 등 국내 화학물질 관리의 법적 요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여러 미국 및 유럽 화학 제조 회사에 자문 제공

주요 활동펼치기

수상

  • Stand-out Lawyer - Independently Rated Lawyers (Thomson Reuters, 2024-2025)
  • Leading Lawyer, Who's Who Legal: Korea, Product Liability Defence (Who's Who Legal, 2023-2024)
  • Patent Star, Managing IP Stars (Euromoney, 2017-2023)
  • Leading Expert for IP in Korea, Expert Guides (Euromoney, 2016-2017)
  • IAM Patent 1000 - The World's Leading Patent Professionals (IAM, 2014-2024) 
  • IP Star, MIP IP Stars (Euromoney, 2014-2015) 
  • Leading Individual, Chambers Global, Intellectual Property (Chambers & Partners, 2011-2015) 
  • Leading Individual, Chambers Asia-Pacific, Intellectual Property (Chambers & Partners, 2010-2015)

저서 및 외부활동
    • Practical Law - Product Liability and Safety in South Korea: Overview (공저, Thomson Reuters, 2022)
    • Lexology Getting the Deal Through - Product Recall 2022: Korea Chapter (공저, Law Business Research, 2021)
    • Practical Law - Product Liability and Safety in South Korea (Overview): Korea Chapter (공저, Thomson Reuters, 2018-2020)
    • The European Lawyer Reference Series: Product Liability 2014 (공저, Thomson Reuters, 2014)
       

학력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Law (J.D., summa cum laude, 1994)

Columbia University (M.S., 화학공학, 1991) 

The Cooper Union (B.S., 화학공학, 1989)

자격

외국변호사, 뉴욕주 (1995) 

외국변리사, 미국 (1994)

언어

영어, 한국어

관련 소식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Share

Share
  

김재정 (Jay J. KIM)
외국변호사


T. 02-3703-1069      
F. 02-2122-3800
     
E. jjkim@kimchang.com

  




김·장 법률사무소의 김재정 외국변호사는 지식재산권, 제조물책임 및 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소송과 위기 관리 분야 변호사입니다. 김 변호사는 화학, 제약 및 의료장비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규제 관련 사안에 대해 폭넓은 경험을 갖고 있으며,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및 라이선싱 업무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김·장 법률사무소에서 제약, 화학, 생명공학 및 소비재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산업에서 특허 및 제조물 책임 사건을 담당하였습니다. 블록버스터 의약품, 폴리머, 석유화학제품, 소비재, 자동차, 백신 및 영·유아 조제 분유용 첨가제 등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제기 된 주요 특허 및 제조물 책임 사건 등 또한 담당해 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Soft IP 소송 및 집행 관련 사건에서 유명 명품 브랜드와 스포츠 리그 등에 자문을 제공하여 위조, 온라인 상 침해 및 소유권 분쟁을 처리한 바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지식 재산권 분야에서 출원등록, 분쟁, 거래 및 형사 사건 관련 업무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 관련 소송, 제약 및 화학 규제 관련 사안, 대정부 관계 및 라이선싱 협상에 대한 경험도 풍부합니다. 

김 변호사는 AIPLA, INTA, IBA, DRI, ChemCon, LES, ICPHSO 및 PLAC와 같은 조직에서 개최하는 여러 국제 회의에 연사 또는 패널로서 정기적으로 참석하고 있으며, 다양한 법률 출판물에 투고하고 있습니다. 

김·장 법률사무소에 합류하기 전, 김 변호사는 한국 국방부조달본부 법무실에서 외자계약담당변호사로 근무했습니다. 또한 Pennie & Edmonds 뉴욕 사무소에서 특허 출원등록 및 집행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였으며, 그 전에는 Foster Wheeler에서 화학처리 최적화 담당 엔지니어로 근무하였습니다. 

김 변호사는 화학공학을 전공하여 1989년 The Cooper Union에서 학사학위를, 1991년 Columbia University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또한 1994년 New York University Law School에서 법학석사학위(J.D.)를 취득하였습니다. 김재정 변호사는 뉴욕주 변호사 및 미국 변리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문 화학공학 엔지니어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습니다.






    김·장 법률사무소 (1995, 1997-현재)

    한국 국방부조달본부 법무실 외자계약담당변호사 (1996-1997) 

    뉴욕 Pennie & Edmonds 법률사무소 (1993-1995) 

    뉴욕 Foster Wheeler 컨설팅 (1989-1991)






  •   미국 소비재 제조회사 관련 사건에 참여, 국내 특허소송 사상 최대 액수의 손해배상 지급 판정 
  •   다양한 미국, 독일 및 스웨덴 자동차 제조회사 관련 급발진 및 안전벨트 결함을 주장하는 소송 참여 및 자문
  •   조기 제네릭 진입에 의한 가격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미국 제약회사 관련 특허소송에 참여 및 자문
  •   제약회사들의 국내 특허 연계 제도에 의거한 특허권 등록 자문 
  •   미국국제무역위원회(ITC)의 처분과 관련된 현지 발견, 증언 및 증인 준비 작업 총괄을 위하여 미국 기기 제조 회사에 자문 제공 및 미국 법률회사와 공동 자문 
  •   미국 주요 스포츠 리그에 전문적인 조언을 제공하여 경기의 무단 온라인 스트리밍에 대한 금지 명령 결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냄 
  •   영국 명품 브랜드 관련 사건에 참여하여 회색시장 상품에 대한 허용 가능한 소매 행위의 범위를 규정하는 중요한 결정을 이끌어 냄 
  •   미국과 유럽의 각종 제약 및 화학 회사에 자문을 제공하며 지식재산권 관련 공정거래 기관 부문의 조사 및 조회에 대응 
  •   신규 K-REACH 시스템 등 국내 화학물질 관리의 법적 요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여러 미국 및 유럽 화학 제조 회사에 자문 제공





수상

  •   Stand-out Lawyer - Independently Rated Lawyers (Thomson Reuters, 2024-2025)
  •   Leading Lawyer, Who's Who Legal: Korea, Product Liability Defence (Who's Who Legal, 2023-2024)
  •   Patent Star, Managing IP Stars (Euromoney, 2017-2023)
  •   Leading Expert for IP in Korea, Expert Guides (Euromoney, 2016-2017)
  •   IAM Patent 1000 - The World's Leading Patent Professionals (IAM, 2014-2024) 
  •   IP Star, MIP IP Stars (Euromoney, 2014-2015) 
  •   Leading Individual, Chambers Global, Intellectual Property (Chambers & Partners, 2011-2015) 
  •   Leading Individual, Chambers Asia-Pacific, Intellectual Property (Chambers & Partners, 2010-2015)

저서 및 외부활동

  •   Practical Law - Product Liability and Safety in South Korea: Overview (공저, Thomson Reuters, 2022)
  •   Lexology Getting the Deal Through - Product Recall 2022: Korea Chapter (공저, Law Business Research, 2021)
  •   Practical Law - Product Liability and Safety in South Korea (Overview): Korea Chapter (공저, Thomson Reuters, 2018-2020)
  •   The European Lawyer Reference Series: Product Liability 2014 (공저, Thomson Reuters, 2014)
     





학력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Law (J.D., summa cum laude, 1994)

    Columbia University (M.S., 화학공학, 1991) 

    The Cooper Union (B.S., 화학공학, 1989)


자격

    외국변호사, 뉴욕주 (1995) 

    외국변리사, 미국 (1994)


언어
  •    영어, 한국어





화학 ,  지식재산권 ,  제조물책임·소비자클레임 ,  특허·실용신안 ,  제약(IP) ,  지식재산권 분쟁 ,  상표 ,  지식재산권 실사, 라이센싱·지식재산 거래 ,  환경 ,  미국 ,  프랑스(IP) ,  중대재해 대응 ,  ESG